書/篆書전서

전서란? - 어람

oldhabit 2008. 6. 21. 12:30

서체 이야기-(1)

 

◈ 篆書(전서) ; 小篆 (소전)


             

 이전의 서체에서 획일적인 변화를 보인 전서(篆書)는 인위적인 수정 작업으로 인해 탄생된 서체였기에 통일된 특징을 갖추기 시작한 최초의 문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문자학의 연구 성과가 이룩되기 시작한 허신의《설문해자(說文解字)》의 기본 제시 자형을 소전(小篆)으로 사용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한자 연구의 오랜 전통과 보편성을 지닌 서체라 할 것입니다.
일반적 한자 구분의 큰 구획인 고문자(古文字)의 마지막 해당 서체인 전서(篆書)를 통해 통일된 서체의 전형을 엿볼 수 있습니다.
 
  ▶ 전서[소전]의 정의
 

 
  본래 전서(篆書)는 대전(大篆)과 소전(小篆)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전서의 대표격은 소전(小篆)을 주로 말합니다.

 은대(殷代)와 주대(周代)의 갑골문(甲骨文)과 금문(金文)의 사용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졌지만, 주(周)나라 말기의 춘추시대(春秋時代)와

 전국시대(戰國時代)를 거치면서 각 지역별 문화의 특성이

 독립적으로 드러나게 됩니다. 문자 역시 각 지역의 국가별로 개별적 특징을

 보이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진시황(秦始皇)의 전국통일로 인해 모든 문화와 문물의 인위적 통일까지 이어집니다. 역사에 등장하는 진시황의 문자통일(文字統一)이라는 것이 바로 소전(小篆)의 서체로 획일화시킨 것입니다. 사료에 의하면 진시황이 승상(丞相)이었던 이사(李斯) 등이 이전에 흩어져 있던 복잡하고 불편한 문자들을 통일시키게 됩니다.

 

  특이한 점은 진나라가 통일 이전에 사용하던 주나라 선왕(宣王)때 태사(太史)인 사 주(史 )가 만들어 주나라 말기 전국시대까지 사용하던 문자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 아니라 이것을 바탕으로 새롭게 개량해서 만들게 되었는데, 통일 이전 사용하던 점과 획의 범위가 복잡한 조형미를 지녔던 문자를 대전[大篆 - 혹은 주의 태사가 만든 글이라는 의미로 주문( 文)이라고도 함]이라 하고, 통일된 새로운 문자를 소전[小篆 - 혹은 '진나라의 전서'라는 의미로 진전(秦篆)이라고도 함]이라 합니다. 하지만 진의 흥망과 함께 운명을 같이 했던 소전이었기에, 사용시기는 그리 오래지 않고 곧 새로운 金文字의 서체인 예서(隸書)가 등장하게 됩니다.

 

   ▶ 전서[소전]의 특징
 

 
  앞서 소전(小篆)의 특징이 인위적인 통일이라는 점으로 인해 서체가 거의 획일적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것은 갑골문과 금문이 지닌 단점 중의 하나인 동일 글자의 다양한 이체자(異體字)들로 인해 통일성이 부족한 아쉬움이 있는 것에 비해 소전은 인위적으로 통일을 시켰기 때문에 자형의 불일치를 완전하게 해소해 여불위(呂不韋)의 말대로 '一字千金(일자천금)'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또한 소전은 자형 자체로 보더라도 이전의 갑골문이나 금문보다 상당하게 상형(象形)의 회화적 성격을 탈피하고 문자의 기호적 성격으로 전환하고 있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와 같이 자형의 일치로 인해 하나의 완전한 글자들로 형태를 지니게 된 소전은 현재까지 문자학(文字學) 연구의 기본적인 자형으로 이어오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 완전한 문자의 특성을 지닌 것은 아닙니다. 가장 미흡한 점이 서체에서 획이 꺾이는 부분을 모두 둥글게 표현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 전서[소전]의 가치
 

 
  소전은 아직 완전한 문자로서 완성된 것은 아니지만, 최초로 통일된 한자의 틀이 완성되었다는 점에서 큰 가치를 부여해 왔습니다. 바로 문자학 연구의 중심 자형으로 이어져 왔다는 점이 소전에 대한 바른 이해의 중심이 되고, 현대의 한자를 이해함에 있어 소전을 바탕으로 하지 않고서는 바른 자원(字源)을 얻을 수 없을 정도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문헌이나 금석문에서는 소전의 자형이 가장 오래된 자형이기도 합니다. 또 우리가 접하는 자전들 역시 고서체(古書體)로 소전체를 제시하고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한자의 자원을 해설하는 학설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어떤 하나의 학설만이 옳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견강부회식(牽强附會式) 해석의 함정이나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한자 자원의 바른 접근이 있어야 합니다. 갑골문이나 금문이 자원 연구의 중요한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지만, 자형(字形)의 불일치나 글자 수의 미비로 인해 다수의 한자를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전의 가치는 한자 이해의 필요불가결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 지금까지 갑골문과 금문으로부터 전서의 소전에 이르기까지 고대 문자의 서체로 규정하는 고문자(古文字)의 전형을 다루었습니다. 현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자의 모양들은 표의문자(表意文字)의 특성을 지녔다고 하면서도 본래 상형(象形)의 원형이 상당히 무너진 형태입니다. 그렇기에 명확한 한자의 이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문자인 갑골문와 금문, 전서의 서체에 대한 확인 과정이 필요한 것입니다.
  다음의 예서(隸書)의 서체부터는 현대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의 모양을 그대로 사용하는 금문자(今文字)로

 

 

 

 

 

' > 篆書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전서6. 귀중한 흔적(碑)  (0) 2009.06.20
[스크랩] 도판작업입니다.  (0) 2009.06.20
[스크랩] 전서2. 금문(金文)  (0) 2009.06.20
[[갑골문]] 갑골문(甲骨文)천자문   (0) 2009.06.19
전서  (0) 2008.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