讀/삼국유사읽기

비형량은 누구인가

oldhabit 2010. 2. 22. 10:37

도화녀와 비형랑

 

사륜왕은 신라 제25대 임금으로 성은 김씨, 시호는 진지대왕이라 했다. 그 왕비는 기오공의 딸 지도부인이었다.
진나라 선제 8년(576)에 즉위하여 나라를 다스리기 4년, 정치는 어지러워지고 왕은 쾌락에 빠져 방종만을 일삼자 나라 사람들이 그를 왕위에서 끌어내려 버렸다.
사륜왕이 왕으로 군림하고 있을 때다. 사량부의 일개 민간 여자로 얼굴이며 맵시가 복사꽃처럼 요염하게 생긴 한 여인이 있었다. 사람들은 그녀를 도화랑(桃花郞)이라 불렀다. 사륜왕은 도화랑의 아름다움을 전해듣고 그녀를 궁중으로 불러들였다. 그리고 동침을 요구했다.
"여자가 지켜야 할 것은 두 지아비를 섬기지 않는다는 것이옵니다. 지아비를 두고 다른 남자에게 가게 하는 것은 비록 제왕의 위엄으로써도 결코 안되는 일이옵니다."
왕은 도화랑을 위협해 보았다.
"죽어도 좋은가?"
도화랑은 태연히 대답했다.
"차라리 저잣거리에서 목을 베일 망정 지아비 밖의 다른 남자를 따르고 싶진 않사옵니다."
왕은 슬쩍 희롱하며 말하기를,
"만약 지아비가 없다면 되겠지?"
"될 수 있사옵니다."
왕은 도화랑을 놓아 보냈다.
바로 그 해에 사륜왕은 왕위에서 폐위되고 죽어 버리고 말았다.
사륜왕이 죽은 뒤 3년 만에 도화랑의 남편도 또한 죽어 버렸다. 남편이 죽은 지 열흘쯤 되는 날 한밤중, 죽은 지 3년 때 되는 사륜왕이 생시와 꼭 같은 모습으로 도화랑이 자는 방으로 들어왔다. 왕은 도화랑에게 말했다.
"네가 이전에 허락했듯, 이제 네 지아비가 없으니 되겠지?"
도화랑은 가벼이 응낙치 않고 그 부모에게 사실을 알렸다. 도화량의 부모는 말했다.
"군왕의 말씀인데 어찌 피할 수 있겠느냐?"
왕이 기다리고 있는 방으로 그녀는 들어갔다.
왕은 도화랑에게서 7일 간을 머물러 있었다. 그 사이 늘 오색 구름이 도화랑의 집 지붕을 덮고 있었고 향내가 방안에 가득했다. 7일 후에 사륜왕은 자취없이 사라졌다.
사륜왕의 7일 간의 동거로 도화랑은 임신을 하게 되었다. 달이 차서 아이를 낳으려는데 천지가 진동하였다. 한 사내아이를 낳았는데, 이름은 비형(鼻荊)이라고 했다.


당시의 임금 진평대왕은 그 신기함을 듣고서 비형을 궁중에 데려다 길렀다. 비형의 나이 열다섯 살이 되자 왕은 그에게 집사란 관직을 주었다.
그런데 이 비형 소년은 매일 밤 궁중을 빠져나가 어느 먼 곳을 노닐다 돌아오곤 했다. 왕은 비형이 하는 짓이 의심스러워 용감한 군졸 50명을 시켜 그를 감시하게 했다. 비형 소년은 번번이 월성의 성벽을 날아 서쪽으로 황천 냇가 언덕으로 가서 도깨비 떼를 모아놓고 놀았다. 군졸들이 수풀 속에 숨어 몰래 엿보았더니 도깨비들은 한창 놀다가 여기저기서 들려 오는 새벽 종소리를 듣고는 뿔뿔이 흩어져 가고, 비형 소년 또한 궁중으로 돌아오곤 했다.
군졸들의 보고를 듣고 난 진평왕은 비형 소년을 불러 물었다.
"네가 도깨비 떼를 거느리고 논다던데 참말이냐?"
비형 소년은 그렇다고 시인했다. 비형 소년이 시인하자 왕은 그에게 한 가지 명령을 내렸다.
"그렇다면 네가 도깨비 떼를 부려 신원사 북쪽 개천에 다리를 놓도록 해라."
비형 소년은 진평왕의 명령을 받들어 그가 거느리는 도깨비 떼를 부려 돌을 다듬고 하여 하룻밤 사이에 커다란 다리를 만들었다. 도깨비들의 손으로 이루어진 그 다리는 귀교(鬼橋)라 이름지어졌다.
진평왕은 비형에게 또 물어보았다.
"도깨비들 가운데서 인간계에 출현하여 정사를 도울 만한 자가 있겠는가?"
길달이란 자가 있습니다. 그가 국정을 도울 만할 것입니다."
진평왕은 다음날 길달을 데려오라 했다.
이튿날 비형을 길달을 데리고 함께 왕을 뵈었다. 왕은 길달에게 집사의 직책을 내려주었다. 길달은 과연 충직하기 비할 데 없었다.
그때 각간 임종은 아들이 없었다. 왕은 임종에게 길달을 양자로 맞아들이게 했다. 임종은 길달을 시켜 흥륜사 남쪽에 문루를 세우게 했더니, 길달은 문루를 세우고 매일 밤 그 문루 위에 가서 자곤 했다. 그래서 그 문을 길달문이라 이름했다.
어느날 길달은 여우로 변하여 달아났다. 비형은 도깨비들을 시켜 길달을 붙잡아서는 죽여 버렸다. 이로 해서 그 도깨비 무리들은 비형의 이름만 듣고도 무서워 달아나게 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이러한 비형을 두고 사(詞)를 지었다.

성제의 혼이 낳으신 아들
비형 도령의 집 바로 여길세.
날고 뛰는 온갖 귀신들아,
이곳에 함부로 머물지 말게나.
향속에서는 이 글을 써붙여 잡귀를 물리친다.

얼마 전 흥륜사 터로 불리던 경주시 사정동에서 영묘사(靈廟寺)묘사(令妙寺)란 명문이 새겨진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주목을 끌고 있다.

 

멩이 생각 : 이 이야기는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화녀 이야기가 하나요, 비형랑 이야기가 둘이요, 길달 이야기가 셋이다. 물론 중심은 비형랑이다. 비형랑은 마마라는 질병을 퇴치하는 샤먼적 재능을 가진 처용과 달리, 귀신과 도깨비 등의 정령을 다스리는 샤먼적 재능을 가진 민간의 신이었던 듯하다. 그런데 이 이야기엔 노골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은 고독과 울분이 내재해 있다. 그것은 물론 인간의 다할 수 없는 욕망 때문일 것이다.

도화녀는 물론 복숭아꽃의 이름을 가진 것으로보아, 귀신을 쫓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동명신화의 유화부인이 물신 하백의 딸로서 물과 땅의 세계를 대표하는 것처럼, 도화녀는 신선 내지 귀신의 세계를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을 암시하는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그녀는 뛰어난 여자 샤먼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녀가 죽은 왕과 관계를 가져 비형랑을 낳는다는 것은, 역시 권능을 부여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서 인간이며 동시에 귀신인 존재가 탄생하게 된다. 그가 비형랑이다. 비형랑은 고독하다. 출생의 비범함 때문에 완전히 인간계에 속할 수 없다. 그래서 그는 두개의 세계에 걸쳐 있으면서 도깨비들과 어울려 논다. 그런 그의 임무가 다리만들기 임무로 나타난다. 그는 확실히 두 개의 세계를 왕래할 수 있고, 길목을 안내하고 다르릴 수 있는 권능을 가진 자이다. 

그가 길달이라는 도깨비를 인간계로 불러들여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처벌할 수 있는 것은 역시 그가 샤먼적 권능을 지녔기 때문이다. 재미난 점은 그가 자연계의 대표인 도깨비들의 입장에 서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입장에 선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에는 자연과 인간의 소통이 드러나 있기는 하지만, 불화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가 나타난다. 선사시대적 관계는 이미 깨어져 있다. 그것은 국가의 권위 때문에 생긴 것으로 나타난다. 

아무튼 사람들은 비형랑 때문에 도깨비와 귀신을 물리칠 수 있게 되었지만, 비형랑은 귀신과 도깨비를 너무나 잘 알기 때문에 귀신과 도깨비의 입장에서는 배신자가 되는 셈이다. 

나는 이 이야기를 선사와 유사의 경계에 나타나는 세계관의 차이로, 자연과 인간의 대등하고 조화로운 관계에서 인간이 지배하는 관계로의 전환으로 읽는다. 길달만 억울하다. 자연이 좋아 여우로 변해 달아나다 결국 비형랑에게 잡혀 죽었기 때문이다. 

도깨비다리와 길달문이라는 다락은 보이는 인간계에서 보이지 않는 심령의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 내지 만남이 이뤄지는 신성한 공간으로 이해해도 될 것이다. 삼국유사에는 그런 신성공간에 대한 의식이 강하게 나타난다. 종교적 심성은 민중에게 보편적이었다. 

                                                                       -멩이- 사랑산에서 펌

' > 삼국유사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화녀(桃花女)와 비형랑(鼻荊郞) 2  (0) 2010.09.30
삼국유사- 현대문-  (0) 2010.09.30
처용가 (신라 향가) [處容歌]  (0) 2010.09.30
내용과 줄거리- 검색에서-  (0) 2010.02.22
삼국유사-일연-  (0) 2010.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