輓詩 만시 만 시(輓 詩) 글-기선민- 죽은 이를 애도하며 쓴 시를 '輓詩'라고 한다. 망자를 묻은 생자의 애가(哀歌)다. 만시 중 으뜸은 자식을 앞세운 부모가 짓는 '곡자시(哭子詩)가' 아닐까 싶다. 영조 때 중인 '김상채'는 일곱 살 아들을 홍역으로 잃고 이렇게 울었다. "너는 내가 죽어도 곡하지 못할텐데, 내가 어.. 書/슬기로운門 2010.05.04
한자어- 순 우리말 요령 : 뜻풀이를 의역으로 최대한 간략하게!학교 한자영재교실 제공 번호 한자어 우리말 번호 한자어 우리말 1 可及的 되도록 21 大抵 무릇 2 加一層 한층 더 22 都是 도무지,전혀 3 間斷없다 끊임없다 23 到底하다 깊고 철저함 4 間或 어쩌다가 24 到底히 아무리 하여도 5 故意 일부러 25 蔑視 업신여김 6 貢.. 書/漢文書禮 2010.04.20
[스크랩] 중국 서예사(4)--진의 소전 태산 각석 이 각석은 원석은 없고 원나라 때 모방하여 만든 각석이다. 소전이 진예로 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글이다. 13) 秦代書法 진은 주문화를 계승 발전 시켰다. 진시황이 6국을 통일하자 三同政策을 폈다. 즉 車同軌. 行同倫, 書同文이었다. 서동문이란 6국으로 분립되어 있을 때 나라마다 자기.. 書/篆書전서 2010.04.16
[스크랩] 중국 서예사(2) 7) 金文 중국 문자에서 갑골문 다음으로 오래 된 문자이다. 古銅製의 用器나 의장용 무기에 새겨져 있는 文字로서 周代에 가장 성행하였고, 유물도 가장 많다. 일명 鐘鼎文이라고도 한다. 도기에 새겨져 있던 도문이 갑골문으로, 다시 금문으로 발전하였을 것이다. 字體도 닮은 점이 많다. 갑골문과 금.. 書/篆書전서 2010.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