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를 나타내는 한자어 나이 桑壽상수-48세, 艾年애년-50세, 美壽미수-66세, 喜壽희수-77세, 傘壽산수-80세, 米壽미수-88세 글자 풀이 桑: 뽕나무 상 壽: 목숨 수 艾: 쑥 애 年: 해년 美: 아름다울 미 壽: 목숨 수 喜: 기뿔 희 傘: 우산 산 壽: 목숨 수 米: 쌀 미 書/漢文書禮 2010.04.16
[스크랩] `애마송병(愛馬頌屛) - 이석구(李石求·1775-1831) 고대부터 말은 충신의 상징으로 왕실과 귀족·문인·무인 모두에게 사랑받는 존재였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무장들의 말 사랑은 남달랐다.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소장 '애마송병(愛馬頌屛)'은 무인들의 이와 같은 말 사랑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병풍 속의 글은 조선 후기 총융사(摠戎使)를 지낸 이.. 書/篆書전서 2010.04.12
基督敎聖句 基督敎聖句(기독교성구) 聖靈充滿 성령이 충만 하라. 성령충만 聖靈在惻 성령이 늘 곁에 있으라. 성령재측 愛隣如己 이웃 사랑하기를 내 몸같이 하라. 애린여기 爲主丹心 주님을 위한 불타는 마음. 위주단심 主恩無量 주님의 은혜는 한량 없다. 주은무량 福音傳播 복음을 전파하라. 복음전파 悔改歸正.. 書/漢文書禮 2010.04.08
진서팔체 중국 한대의 허신(許愼)이란 사람이 지은 <<설문해자(說文解字)>>란 책의 서(序)에 보면, 진대(秦代)에 팔체서(八體書)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 여덟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전(大篆), 소전(小篆), 각부(刻符), 충서(蟲書), 모인(摹印), 서서(署書), 수서(칠수,書:옛날 병기 위에 쓰던 고.. 書/漢文書禮 2010.04.08
八分隸 八分隸 갑골문-금문-대전-소전-고예-팔분-예서-장초-초서-해서-행서-해서 예전에 서예의 변화를 이렇게 배웠다 현재 기초적으로 배울때 전서에서 예서로 변화가 되는데, 고대의 예서는 지금의 형태를 처음부터 가지고 있지 않았다. 처음 예서가 만들어졌을때 대전과 소전의 모양을 띠고 있었다 기록에.. 書/漢文書禮 2010.04.08
벼루 벼루는 동양의 독특한 문화인 서예에 필요한 도구중 하나로 이를 문방사우 또는 문방사보(지. 필. 묵. 연)로 불려 지며, 그 중 벼루는 먹을 갈아 먹물을 만드는 도구입니다. 벼루는 단순한 기능을 떠나 벼루의 여백에 조각을 하기때문에 문양을 통해서 그 시대의 생활철학과 정서를 살필 수 있고, 벼루 .. 書/슬기로운門 2010.04.08
錐劃沙)추획사와 인인니印印泥 추획사(錐劃沙)와 인인니(印印泥) 추획사(錐劃沙)와 인인니(印印泥)는 붓을 어떻게 사용하는냐에 관계되는 용필의 방법을 형용한 것이다. 추획사는 송곳으로 모래 위를 그어나가면 모래의 형태가 양쪽으로 갈라지면서 중간이 오목하게 패이는데 이는 마치 글씨를 쓸 때 중봉이나 장봉을 형용하는 의.. 書/漢文書禮 2010.04.08
九生法 구생법 (九生法) 글씨는 주변환경이나 쓸 당시의 정신 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어수선한 환경이나 맑지 못한 정신으로서는 좋은 글씨를 쓸 수가 없는 것은 당연하다. 주변 상황도 그렇지만 書 의 직접적인 매개체가 되는 문구나 용품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좋은 글씨를 .. 書/슬기로운門 201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