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왕희지 초서(草書) 천자문 자고로 초서의 전형으로 평가되는 왕희지(王羲之)의 草書는 17첩(帖)에 의하여 그 진면목을 엿볼 수 있다. 글자의 결구(結構)가 안정되고 고아한 형태를 갖고 있으며 자연적이면서도 중후한 맛은 보는 이로 하여금 쾌감을 불러 일으키게 한다. 당대(唐代)의 초서들과 비교해보면 형의(形意)가 구비하여 .. 書/草書초서 2010.03.24
[스크랩] 손과정 초서(孫過庭 草書) 천자문 손과정은 정관(貞觀) 22년 ~ 장안(長安) 3년(648년-733년) 시대에 하남성 출신으로 왕희지와 왕헌지의 서풍을 배우고 특히 초서에 능했으며 그의 대표적인 서보(書譜)는 초서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필수적으로 거쳐야할 법첩(法帖)이다. 그의 서체 특징은 남성적이고 기교가 탁월하여 일종의 풍격을.. 書/草書초서 2010.03.24
[스크랩] 손과정 서보 전체 http://www.linkclub.or.jp/~qingxia/cpoem/shupu.html 위 사이트에서 가져온 도판입니다. 원문도 함께 실려있으니 참고바랍니다. 書/草書초서 2010.03.24
초서란 초서 (서체) [草書] 넓은 의미로는 자체(字體)를 간략하고 빠르게 쓴 초체(草體)를 가리킨다. 초체는 문자를 빠르게 서사(書寫)한 것으로 전서의 경우는 전초(篆草), 예서의 경우는 예초(隸草)라 하며 중국 창사[長沙]의 묘에서 출토된 죽간(竹簡)과 서북지방 출토의 목간(木簡) 등에서 대전(大篆) 및 한례.. 書/草書초서 2010.03.24
행서 행서 (서체) [行書] 한자 서체의 하나. 해서와 초서의 중간적인 서체로, 행서의 종류에는 행압서(行押書)·진행(眞行)·행해(行楷)·초행(草行)·행초(行草)·소행초(小行草)·반초행서(半草行書)·선서(扇書) 등이 있다. 행압서란 행서의 초기 명칭이며, 진행은 진서에 가깝게 하되 흘린 것으로 해행(.. 書/行書행서 2010.03.24
예서란 예서 (서체) [隸書] 한자 서체의 하나. 전서(篆書)를 간략화한 것으로 좌서(左書)라고도 한다. 일설에는 중국 진(秦)의 시황제(始皇帝) 때 옥리(獄吏)였던 정막(程邈)이 옥에 종사하는 사무원(徒隸)들의 문서가 번잡한 것을 줄이기 위해 대전(大篆)을 개선하여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예서라는 명칭이 생.. 書/隸書예서 2010.03.24
해서란 해서 (서체) [楷書, Kaishu] 병)Kaishu (웨)K'aishu. 후한시대(後漢時代 : 23~220)에 전대(前代)의 예서(隸書)를 좀더 유연하고 쓰기 쉬운 형태로 단순화시켜 발전시킨 중국 서체. 해서 /해서, 한호가 쓴 〈완양부원군이충원호성공신교서〉(1604), ... 진서(眞書)·정서(正書)·금예(今隸)라고도 한다. 후한말에 한예(.. 書/楷書해서 2010.03.24
전서란 전서 (서체) [篆書, chuanshu] (병)Zhuanshu (웨)chuanshu. 한자의 대전(大篆)과 소전(小篆)의 통칭. 한위(漢魏) 이전에 쓰이던 글자체이다. 협의로는 주문(籒文)과 소전을 가리키고 광의로는 갑골문(甲骨文), 금문(金文), 주문, 춘추전국시대 각국에서 통용되던 문자와 진대(秦代)에 창시된 소전을 가리킨다. 여기.. 書/篆書전서 2010.03.24
좋은 글-인기아취(人棄我取) 인기아취(人棄我取) 다른 사람이 버린 것을 나는 취한다 천즉귀 귀즉천(賤卽貴 貴卽賤) 천하면 귀해지고, 귀하면 천해진다 멩이 생각 : 논리보다 역설이 진리에 가깝다. 역설은 이분법을 뒤집어 통합하기 때문이다. 온세상 사람들이 자기를 잃고 남의 길을 따라가기 급급하다. 그럴수록 버려진 곳에 남.. 書/漢文書禮 2010.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