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전서2. 금문(金文) 금문(金文) 금문은 종정문(鐘鼎文)이라고도 부르는데 은주시대(殷周時代)의 청동기위에 주조(鑄造)되어 있거나 새겨진 글자를 가리킨다. 동기 중에는 종(鐘)과 정(鼎)이 비교적 중요하여 이 때문에 鐘鼎文이라 부르는데, 鐘은 일종의 악기(樂器)로 받침대 위에 걸어 놓고 나무망치를 쳐서소리를 냈으며.. 書/篆書전서 2009.06.20
[스크랩] 추사선생 인보 모음 충남 예산의 추사기념관 안내소 벽에 예산에서 활동하는 향석전홍규선생작품이 있습니다 추사선생 인보를 모으고, 새겨서 붙여 놓았습니다. 시간상 다 자세하게 보지는 못하고 사진으로 담아와서 보니, 또 다른 느낌입니다. 돌에 새긴 향석선생님과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본 사진은 전면(全面).. 書/슬기로운門 2009.06.20
[스크랩] 운현궁 무량수각(无量壽閣 阮堂 金正喜 書) 편액 秋史 金正喜 선생이 쓴 무량수각(无量壽閣)이란 편액은 오늘날까지 두 점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나는 추사 55세 때(헌종 6년) 제주도 유배시 대흥사에 들러 초의 스님에게 써준 것으로 선방 건물인 백설당(白雪堂)에 걸려 있다. 장쾌한 필력을 과시한 비후미(肥厚美)를 느끼게 하는 예서이다... 書/漢文書禮 2009.06.20
[스크랩] 秋史 한글 편지 예술의 전당 서울서예박물관 명가명품콜렉션Ⅳ·멱남서당 소장 秋史家의 한글문헌Ⅰ . . . 월남사지진각국사비 비각 추사체와 추사한글 1. 추사한글의 점획과 결구 한글 자모(子母)의 점획은 15세기 창제당시 고전체(古篆體)에서 시대별로 필사(筆寫)에 대한 속도와 필사자의 미감(美感)이 바뀜에 따라.. 書/한글서예 2009.06.20
掃葉 掃葉 - 낙엽을 쓸다(매월당 선생시) 掃葉聲中午夢驚(소엽성중오몽경) 낙엽쓰는 소리에 낮 꿈을 놀라 깨어 起看東嶺白雲生(기간동령백운생) 일어나 동쪽 산에 흰구름 이는 것 보고있네. 直將魚鳥無心趣(직장어조무심취) 고기와 새는 마음도 취미도 없는 것을 가지고서 剩得烟霞不世情(잉득연하불세정).. 書/漢文書禮 2009.06.20
[[갑골문]] 갑골문(甲骨文)천자문 은(殷 : BC 1384~ 1112)나라때 龜甲(구갑)이나 獸骨(수골) 등에 전쟁,사냥, 農事 등 여러 가지 國事를 神에게 물어보는 기록들을 예리한 칼로 새긴 문자로서 서예역사의 시발점으로 보는 서체이다. 起筆과 收筆이 예리한 것이 많으나 금문처럼 鈍劃도 보인다. 금문이 曲의 서체라면 갑골은 直의 서체라고 할.. 書/篆書전서 2009.06.19
[스크랩] 훈민정음이란 무엇인가 훈민정음,백성을을 가르치는 옳바른 소리로 몇백년의 역사를 걸쳐서 오늘 날 한글로 변천해왔다. 국제브랜드상품으로도 손색이 없는 우리의 자랑스런 얼굴이다. 한류가 쓸고지나간 자리에는 꼭 한글이라는 우리의 문화가 싹트고 있다. 이것이 문화의 힘이라고 생각한다. 그 가운데서 민족의 언어는 .. 書/한글서예 2009.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