立春用例 立春用例(입춘쓰는법) 1. 立春大吉 建陽多慶-입춘대길 건양다경 2. 國泰民安 家給人足-국태민안 가급인족 3. 福如東海 壽比南山-복여동해 수비남산 4. 開門萬福來 掃地黃金出-개문만복래 소지황금출 5. 災逐歸雁消 福從燕子來-재축귀안소 복종연자래 6. 鶴算千年壽 松齡萬古春-학산천년수 송령만고춘 7... 書/漢文書禮 2010.03.29
[스크랩] 한글서예변천과정표 한글서예 변천과정표 訓民正音 1443 세종 25 전서필의 訓民正音 解례本 1446 세종 28 東國正韻 (신숙주외) 1447 세종 29 龍飛御天歌 (정인지외) 1447 세종 29 한글의 제1변화 예서필의 1.점이 선으로( 제외) 2.붓으로 쓰기 편한 자체로 釋보상절 (수양대군) 1447 세종 29 別錢주조 효례뎨의(孝悌禮儀) 月印千江之曲(.. 書/한글서예 2010.03.29
전각篆刻이란 [ 집필법 | 운필법 l 전각 ] 전각(篆刻)이란 전각은 동양 특히 중국권 문화의 독특한 순수예술이다. 전각은 한자의 전서체(篆書體)를 새겨 조각하는 것, 즉 인장 (印章 )을 조각하는 것이다. 전서체를 쓰는 것은 옛날부터 내려오는 전통적인 흐름이다. 여기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전서의 자형 (字形).. 書/篆刻전각 2010.03.26
[스크랩] 이양빙 초당집서 마지막 원고 《縉雲縣城隍廟碑》 이양빙 초당집서 마지막편 又與贺知章1)、崔宗之2)等自为八仙之游3), 谓公谪仙人4), 또 하지장、최종지 등과 어울리어 스스로 여덟 명의 신선이 함께 노닌다고 생각하였다. 이백을 일컬어 하늘에서 인간세계로 쫓겨 온 신선이라 하였다. 朝列赋&am.. 書/篆書전서 2010.03.26
[스크랩] 지산님의 부채작품 2.지산강신철선생님 부채작품 임재선사글 (수처작주 립처개진 즉시현금 갱무시절) 언제 어디서나 주체적일수있다면 그 서있는곳이 참된곳이고 바로 지금이지 다시 시절은 없다 書/篆書전서 2010.03.26
상량서식 龍鳳 ○年○月○日○時立柱上樑 應天上之五光 備人間之五福.... 龜麟 內容을 보면 첫 자를 龍鳳 또는 龍을 쓰고 末尾에는 龜麟 또는 虎字를 쓰는데 이는 守護神으로 여기는 龍, 鳳, 龜, 麟, 白虎말한다. 東洋에서는 五靈物 즉 다섯 가지 靈驗한 動物이라고 해서 陰宅地 (墓地)와 陽宅地(住宅地)을 지켜.. 書/슬기로운門 2010.03.26
[스크랩] 蓮坡 崔正秀선생님의 추사체 입니다. 제가 이분께 직접 배우지는 않았는데요. 일종의 제가 좋아하는 스타일이라고 할까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만 있는 추사체를 추사 김정희 선생님 다음으로 쓰시는 분입니다. 비록 추사체를 여기 회원님인 일해님과 입석시님등몇몇 분들도 추사체를 쓰신다는것을 알지만 이분은 아마 제가 죽을 때.. 書/行書행서 201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