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 채근담菜나물 채㉠나물㉡안주㉢채마밭" alt>菜根뿌리 근㉠뿌리㉡근본㉢밑둥" alt>根-譚클 담/말씀 담㉠크다㉡편안하다㉢붙다" alt>譚 (병)Caigentan (웨)Ts'aikent'an. 중국 명대(明代) 홍응명(洪應明)이 지은 삼교일치(三敎一致)의 통속적인 처세 철학서. 1권. 작자 홍응명은 자는 자성(自誠), 호는 환초도인(還.. 書/漢文書禮 2009.06.12
수인에 사용되는 문구 두인 사용되는 문구 曲卽全 : 굽은 것이 완전한 것이다 吉祥 : 좋고 상서로움 德化: 덕이 조화를 이루다 樂道 : 도를 즐기다 明德 : 덕을 밝히다 明善 : 선을 밝히다 聞道 : 도에 대해 듣는다 守拙 : 졸박함을 지키다 守中 : 중용을 지키다 守眞 : 진실을 지키다 時雨 : 때에 맞게 내리는 비 愼德 : 덕을 삼가 .. 書/슬기로운門 2008.09.26
낙관 ■ 낙관(落款)이란 ■ 출처 - http://artsquare.co.kr 참조 낙관이란 '낙성관식'의 준말로 '관서'라고도 한다. 동양 예술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조형 세계로 작품을 완성하고 화제를 쓰고 아호, 성명, 연월일 등을 쓰고 도장을 찍는 일 모두를 말한다.낙관은 그린 사람이 누구이고 언제 어느날에 그렸고 왜 그.. 書/슬기로운門 2008.09.26
낙관은 도장이 아니다 낙관(落款)은 도장이 아니다 <낙관(落款)이란 무엇이며 낙관과 인장(印章),인영(印影)은 무엇이 다른 것인가?> 雨頌 尹炳朝 (한국전각학연구회 감사) 서론 1. 낙관(落款)의 용어풀이 2. 개자원화보에 나타난 낙관의 정의 3. 낙관의 현대적 해석 4. 낙관의 발생과 변천 5. 낙관의 중요성 6. 낙관의 종류 7... 書/슬기로운門 2008.09.12
흙으로 구운 낙관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도장.. 그리고 인감... 그 재질은 뿔(프라스틱) 상아 벼락맞은 단풍나무 옥 등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런데 관공서의 직원처럼 수없이 많은 도장을 찍게되면 닳기도 하더군요 도예가들은 흙으로 만들어 문양을 새기고 가마에 구워 나름대로 낙관을 만들어 사용합니.. 書/슬기로운門 2008.09.12
四君子배우기 ■ 여러가지 준법 ■ 준법이란 산석(山石) 등을 표현하는 데 명암(明暗)과 요철(凹凸)을 나타내는 일종의 붓 터치를 말하는 것이다. 대개 준의 창안은 산과 돌의 모양에 따라 이루어진 것인데, 중국 역대를 통한 준의 창안은 작가가 살고 있던 지방의 산세(山勢)에 따라 결정되었다고 한다. 준법이란 산.. 書/한글서예 2008.09.10
선의 다섯가지 美 선의 다섯가지 美 張羽翔(짱위씨앙) 廣西藝術學院 &#20070;法&#19987;&#19994; &#25945;授 광서예술학원 서예전공 교수 濟南 山東藝術學院 南院 3層 多媒&#20307;&#25945;室 제남 산동예술대학 디자인대학 3층 영상매체교실 2005년 10월 16일 들어가는 말 서예를 공부해오다가 어느덧 이제는 가르치.. 書/슬기로운門 2008.09.10
전서 요즈음 전서를 쓰고 있다. 글씨라기 보다는 쓰면서도 그림을 그린다는 느낌이 많다. 책을 보지않고는 이 자가 뭔자인고?^^ 채본과 교재를 가까이 놓고 시작과 가는 길을 잘 물어야만 한다. " 자획이 드문 곳에서는 말(馬)이라도 달릴 수가 있으리만큼 넓게 비우고, 자획이 빽빽한 곳에서는 바람(風)도 통.. 書/篆書전서 2008.09.01
전서란? - 어람 서체 이야기-(1) ◈ 篆書(전서) ; 小篆 (소전) 이전의 서체에서 획일적인 변화를 보인 전서(篆書)는 인위적인 수정 작업으로 인해 탄생된 서체였기에 통일된 특징을 갖추기 시작한 최초의 문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문자학의 연구 성과가 이룩되기 시작한 허신의《설문해자(說文解字)》의 기본 제시.. 書/篆書전서 2008.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