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팔체 중국 한대의 허신(許愼)이란 사람이 지은 <<설문해자(說文解字)>>란 책의 서(序)에 보면, 진대(秦代)에 팔체서(八體書)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 여덟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전(大篆), 소전(小篆), 각부(刻符), 충서(蟲書), 모인(摹印), 서서(署書), 수서(칠수,書:옛날 병기 위에 쓰던 고.. 書/漢文書禮 2010.04.08
八分隸 八分隸 갑골문-금문-대전-소전-고예-팔분-예서-장초-초서-해서-행서-해서 예전에 서예의 변화를 이렇게 배웠다 현재 기초적으로 배울때 전서에서 예서로 변화가 되는데, 고대의 예서는 지금의 형태를 처음부터 가지고 있지 않았다. 처음 예서가 만들어졌을때 대전과 소전의 모양을 띠고 있었다 기록에.. 書/漢文書禮 2010.04.08
錐劃沙)추획사와 인인니印印泥 추획사(錐劃沙)와 인인니(印印泥) 추획사(錐劃沙)와 인인니(印印泥)는 붓을 어떻게 사용하는냐에 관계되는 용필의 방법을 형용한 것이다. 추획사는 송곳으로 모래 위를 그어나가면 모래의 형태가 양쪽으로 갈라지면서 중간이 오목하게 패이는데 이는 마치 글씨를 쓸 때 중봉이나 장봉을 형용하는 의.. 書/漢文書禮 2010.04.08
지백수흑知白守黑 知白守黑 글씨는 흰 공간과 검은 획으로 이루어집니다, 이것을 중국사람들은 분포(分布)라고도하지요.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검은 먹의 양을 따져서 분(分)이라고 하고, 흰 공간의 여백을 포(布)라고 합니다. 흰 공간은 먹이 없는 곳으로 비어있는 곳이며. 검은 획은 먹이 있는 곳으로 실(實)한 곳이지.. 書/漢文書禮 2010.04.08
향세와 배세 그리고 주(主)와 객(客) 향세와 배세는 글자의 점획에 대해 말한 것으로 글자가 서로 마주보고 향하고 있으면 향세(向勢)이고, 서로 등지고 있으면 배세(背勢)이다. 예컨대 구양순의 해서는 배세에 해당하고 , 안진경의 해서는 향세에 해당한다. 즉 향세는 () 이런 모양이고, 배세는 )( 이런 모양이다. 강기라는 사람은 <<속.. 書/漢文書禮 2010.04.08
천자문 천자문 천자문(千字文)은 우리에게 알려진 연원이 꽤 오래됩니다. 그 내용 중 많은 부분들이 중국의 삼국시대 이전 문헌에서 발견됩니다. 천자문의 최초의 작자는 삼국시대 위나라 학자이며 서예가인 종요(鍾繇)입니다. 그러나 종요가 지은 천자문은 어떤 체계가 서 있지 않은 것이었습니다. 그 뒤 육.. 書/漢文書禮 2010.04.08
[스크랩] 임서가 살아야 창작이 산다(김수천 교수 칼럼) 임서가 살아야 창작이 산다 1 원광대 서예과 김 수 천 교수(철학박사) 서예가 세상에 출현한 이후, 줄곧 이어진 전통은 고법(古法)을 근간으로 하여 창신(創新)을 이루었다는 점이다. 창작에 능한 서예가일수록 임서에 있어 예리한 관찰력을 발휘했고, 이를 통해 탄탄한 도야과정을 거쳤다. 전통적인 의.. 書/漢文書禮 2010.04.07
가훈자료 1 家和萬事成 (가화만사성) 가정이 화목하면 무엇이든지 잘되어 나간 2 苦盡甘來 (고진감래) 고생끝에 낙이 온다는 말 3 公平無私 (공평무사)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 4 克己復禮 (극기복례) 욕망을 억제하여 바른행동을 한다 5 公生明 (공생명) 공평하면 판단을 그르치지 않는다 6 見仁見智 (견인견지).. 書/漢文書禮 2010.03.29